TEXT

Semisatellite : 4th Solo exhibtion

Incessantly Resonating, While Neither Belonging nor Not Belonging

Hye Jin MUN (Art Critic)

 

Let us begin with Title (2016), a fan installation situated in the front of the exhibition. The sculpture is comprised of a fan structure devoid of blades with a light source at the center. Below the sculpture, a transparent acrylic panel text reads “semisatellite.” As the fan rotates the letters repeatedly appear visible and invisible, long and short, casting light and shadow in the entire exhibition space. “Semisatellite,” which is also the title of this exhibition, refers to the celestial body that appears to be a satellite but is not. Quasi-satellites are satellite-like structures that revolve around planets. However due to the periodic gravitational impact of orbital resonance, they repeat a process of approach and retreat, remaining in an unstable state in which they neither completely belong to nor oppose the orbit. Because of the artist’s interest in this precarious state—a state that changes depending on vantage point and that neither belongs nor opposes—Haena Cho introduced this concept as a possible escape for our thoughts that is not free of inertia, be it physical or social. “On which orbit are we now?” Cho asks. Restrained by social conventions and the limits of physical space, most people tend to accept the existing conditions as they know them. The life that continues to reproduce in identical patterns is a life of repetition without variation, a life that does not derail from an orbit. Cho visualizes the discordance between phenomenon and reality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us to rethink or suspect things that we take for granted. The image that we perceive as “semisatellite” is not reality but illusion (i.e. shadow). This image cannot even be fixed and constantly oscillates following the motion of the light. Image, which is a mere ephemeral illusion, overturns the cognition of stable existence and opens the “contradictory point in-between spaces,” as Cho puts it.

 

The motif of orbital resonance is reflected in the overall aspects of the exhibition, either on the microscopic and macroscopic level. The involved entities are mutually influenced and interconnected as they seem to be on the verge of derailing from the orbit. Most of the exhibited works take the format of orbital motion that either physically spins or rotates, and several of these works embody the technical rotational relationship between planets and the satellites. A representative example is Semisatellite (2020), a work that bears the same title as the exhibition. The work visualizes movements of celestial bodies revolving around fixed stars.

 

Surrounding the fan structures that have a central light source symbolizing the sun, two parallel, six-meter long straight rails are installed. Attached to each rail is a fan projecting light that repeats pendular movement and a tray that changes gradient as a metal ball on it revolves on it. While the light—emitted from the fan that plays the role of the Sun—forms a large orbit and generates movements of shadows, each satellite generates orbits on many different levels. The various orbits created by the movement of the objects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and intersecting: the movement of the rails engenders the rotation on the z-axis; the light from the fan rotates on the x-axis as it sweeps the floor like a broom; the trays rotate on the y-axis as they tilt from here and there while finding horizontal balance; and the xz-plane rotation is generated by the balls spinning on the trays. The axes emulate each other’s forms and create a sort of state of orbital resonance. Just as a child totters on the verge of tumbling, physical movement and immaterial movement (i.e. the trajectory of light) intersect and realize a kind of “intra-action.” Another work that materializes the auditory interactions, Blue Shift (2020), visually reappropriates the revolution of the celestial bodies. The two satellites that each are represented by drum sticks and cymbals repeat the process of moving closer and farther in distance, visualizing th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of sound. Considering that the sound is transmitted while pushing through the air as a medium, the rotation of the installation that oscillates between a narrowed and broadened distance can be read as a metaphor for the workings of the sonic field.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 movements of the individual entities are in interaction with other entities consisting of the system, and they change depending on situations and standpoints. It is as if a water bottle placed in front of a glass window on a sunny day may seem to be in a static, stationary state, but in fact is in dynamic equilibrium on a molecular dimension where evaporation and congelation intersect. Its mode of existence completely differs depending on the humidity, temperature, and pressure. This point raised by Cho can be aligned with a philosophical trend that rejects Western metaphysics, which traditionally draws a strict boundary between subject and object and assumes the fixed notion of matter. Examples of these contemporary philosophical trends that align with Cho’s thinking include the “Actor-Network Theory” by Bruno Latour, the connection between process and reality discussed by Alfred North Whitehead, and the concept of “intra-action” by Karen Barad. Barad rejects the existence of an entity irrespective of phenomenon and regards “intra-action” as involving the observed object, the act of observation, and the tool for observation to generate phenomena. This argument by Barad resonates with the ways in which Cho considers each of her works as individual organisms and renders the entire exhibition as a dynamic space where organisms resonate with each other.

 

The motif of orbital resonance—the idea that objects “intra-act” with each other and are different than they appear—is once again variated in a video work, in addition to its manifestation in physical movements presented in the installations. Linear Expansion (2020) humorously and wittily introduces the tactic of disguise. On first glance, audience members may think it is a fluorescent light à la Dan Flavin; however, Linear Expansion is in fact a projected mapping designed to match the width of fluorescent lights. Only after seeing the ornate patterns that would be impossible to see from a fluorescent light bulb does the audience realize that it is a video projection that imitates fluorescent lights. Event Horizon (2020) is a work that combines video and physical movement to address the gap in the cognition where things that appear differently from what they are. As visitors first view the work, they assume they are seeing a spinning monitor, but they eventually realize the complexities of the installation mechanism. The monitor spins counter-clockwise at a speed of 0.75 RPM, and the video spins clockwise at a speed ranging from 0.75 to 4.5 RPM. At the instant where the monitor and the video’s speed of rotation coincide, the speed is offset and the video appears to be in a stationary state, when in fact they are rotating in opposing directions.

 

While Event Horizon  integrates a physical spin into video, the Void series consisting of four consecutive works attempts to blur the boundaries within the languages that have emerged in the video medium. These videos are endlessly looped with an ambiguous beginning and end and capture the movements that flow from one side to the other. The movement of the cars continues to shift up and down, the movement of the waves pans from left to right or up and down, and the movement of the clouds flows from the bottom left to the bottom right side of the screen. However, the videos do not follow a consecutive temporality. The movement that appears to be consecutive is a video “sculpture” composed of clips from over 60 individual videos. The videos that involve nonsequential ruptures under the guise of sequential appearance quietly subvert conventional ideas about videos. This work surreptitiously erases the boundaries between photography and video. Video works that move slowly without any change in the filmed subject are viewed as “live painting,” as in Andy Warhol’s Empire (1964). In the case of The Void of the Light, the afterimage of the overlapped video remains as to emphasize the merging of different space times. The contrast between an almost static backdrop, despite being a video, and the scene of the road with quickly moving cars also evokes an optical illusion of an image in which photography and video coexist.

 

Since we have rotated for a full cycle of the orbit, I would like to return to Forced Landing (2020),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point of the exhibition. The work, which is a video projection on a parachute, combines the aspects of both a physical plummet as well as the unanchored flow of consciousness. Images intermittently continue to appear: the ground seen from a high altitude, falling droplets, and changing sights that follow the wobbling of the string of the parachute. However, this work can also be situated in the in-between space of phenomenon and reality. The rewound footage reveals the fall in reverse. As it plays, the perspective retreats further away from the ground, and the sound effects—which seem like recorded sounds but are actually a converted form of electromagnetic wave caused by motion—are like awakening “red pills”; they break this sleek illusion. Like in analog television where there is only a fine line between signal and noise, there may not be much difference between an intended landing and forced landing. An elegant landing may turn out to be a forced landing after all, and a forced landing can lead to an unknown path. Haena Cho’s journey that began with the question, “on which orbit are we now?” provokes the ontological question, “where am I and where am I heading to?” Nothing is definite. There is just you, me, and the artworks, incessantly resonating with one another while precariously manifesting each one’s own trajectory.

 

유사위성 : 4번째 개인전

속한 것도 속하지 않은 것도 아닌 채 끝없이 공명하기

문혜진(미술비평)

 

전시 초입에 놓인 선풍기 설치 <Title>(2016)에서 시작해 보자. 날개 대신 조명 램프를 단 선풍기 아래 투명한 아크릴판으로 제작된 ‘유사 위성’이라는 글자가 놓여 있다. 선풍기가 회전함에 따라 글자는 보였다 안보였다 길어졌다 짧아졌다를 반복하며 전시장 전체에 빛과 그림자를 드리운다. 이번 전시의 제목이기도 한 ‘유사 위성’은 위성처럼 보이지만 위성이 아닌 천체를 지칭하는 용어다. 유사 위성(준위성)은 겉보기에 행성 주변을 공전하는 위성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주기적으로 중력적 영향으로 가하는 궤도 공명 때문에 행성에 접근하거나 멀어지기를 반복하면서 온전히 궤도에 속한 것도 아니고 속하지 않은 것도 아닌 불완전한 상태를 보인다. 조해나가 이 개념을 도입한 것은 보는 관점에 따라 달라지며 궤도 안일수도 밖일 수도 있는 불확실한 상태가 물리적이든 사회적이든 관성에서 자유롭지 못한 우리의 사고에 하나의 탈출구가 될 수 있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는 어떤 궤도에 머물러 있는가?”(작가) 사회적 관습과 물리적 공간의 한계에 묶여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는 대로 현상을 받아들이곤 한다. 똑같은 방식을 재생산하는 삶은 차이 없는 반복으로 궤도를 벗어나지 않는 삶이다. 조해나는 현상과 실체의 불일치를 가시화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다시 한번 생각하거나 의심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우리 눈에 보이는 유사 위성이라는 이미지는 실체가 아니라 허상(그림자)이고, 그마저도 고정되지 못하고 빛의 운동에 따라 끊임없이 요동친다. 찰나의 환영일 뿐인 이미지는 안정된 실체에 대한 인지를 뒤집고 “공간과 공간 사이의 모순된 지점”(작가)를 열어젖힌다.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주어 궤도에서 벗어날 듯 말 듯 이어져 있는 궤도 공명의 모티프는 미시적으로나 거시적으로 전시 전반에 반영되어 있다. 우선 출품작 다수는 물리적으로 회전하거나 왕복하는 궤도 운동의 포맷을 취하고 있고, 그중에서 직접적으로 행성 혹은 위성의 공전 관계를 형상화한 작업도 여럿이다. 대표적으로 전시 제목과 동명인 <유사위성>(2020)이 있다.이 작업은 항성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천체들의 움직임을 가시화한다. 태양을 상징하는 전구 달린 선풍기를 중심으로 6m의 직선 레일이 대칭을 이루며 설치된다. 각 레일에는 진자운동을 반복하는 전구 달린 선풍기와, 금속 구슬이 회전 운동을 반복하며 경사도를 바꾸는 쟁반이 각각 하나씩 달려 있다. 태양 역할의 선풍기가 쏘는 빛이 큰 궤도를 이루며 그림자 운동을 만들어 내는 가운데, 각 위성들도 여러 층위의 궤도들을 발생시킨다. 레일의 이동에서 Z축의 왕복운동이 발생하는 한편, 선풍기의 전구가 바닥을 빗자루 쓸 듯 훑으며 지나가는 빛의 X축 왕복운동, 수평을 맞추려고 이리 기울고 저리 기우는 쟁반의 Y축 왕복운동, 쟁반 내부에서 일어나는 구슬의 XZ 평면 회전 운동이 동시다발적으로 각자의 궤도를 만들며 교차한다. 이들은 서로의 모습을 흉내내며 모종의 궤도 공명 상태를 창출한다. 넘어질 듯 말 듯 뒤뚱뒤뚱 걷는 아이처럼 물질적 운동과 비물질적 운동(빛의 궤적)이 교차하며 일종의 내적-작용(intra-action)을 구현하는 것이다. 한편 청각적 상호작용을 형상화한 <청색이동>(2020) 역시 천체의 공전을 시각적으로 차용한다. 각각 드럼 스틱과 심벌즈를 상징하는 두 위성은 가까워졌다 멀어졌다를 반복하며 소리의 발생과 전달을 가시화한다. 소리가 공기라는 매질을 밀면서 전달된다는 사실을 상기하면, 거리를 좁혔다 넓혔다를 반복하는 장치의 왕복운동은 소리를 만드는 장의 작용을 은유하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개체의 운동이 계를 구성하는 다른 개체들과 상호작용하고 있으며, 상황과 관점에 따라 매 순간 달라진다는 점이다. 이는 마치 햇살 좋은 유리창 앞에 놓인 물병이 외견상으로는 정적인 정지 상태로 보이나 분자적 차원에서는 증발과 응결이 교차하는 동적 평형 상태를 이루고 있고, 그 양상이 습도나 온도, 압력에 따라 완전히 달라지는 것과도 같다. 조해나의 이런 관점은 주체와 객체를 엄격히 구분하고 고정된 물질 개념을 상정하는 서구 형이상학에 거부하는 철학적 흐름들과 맞닿는 부분이 있다. 브루노 라투르(Bruno Latour)의 행위자-연결망 이론이나 화이트 헤드(Aftred North Whitehead)의 실재와 과정의 연결, 캐런 바라드(Karen Barad)의 내적-작용 개념 등이 일례다. 현상과 무관한 개체의 존재를 부정하며 측정 대상뿐 아니라 관찰 행위, 측정 장치까지 서로 내적-작용을 하며 현상을 발생시킨다는 캐런 바라드의 주장은 작품 하나하나를 유기체로 보고 전시장 전체를 유기체들이 서로 공명하는 역동적인 장으로 만들고 싶다는 조해나의 말과 공명한다.

 

사물이 상호작용하며 겉보기와 다르다는 궤도 공명의 모티프는 물리적 운동이 아닌 영상 작업에서도 또 한 번 변주된다. <선팽창>(2020)은 유머러스하고도 재기발랄하게 가장(disguise)의 전략을 도입한다. 얼핏 댄 플래빈(Dan Flavin) 유의 형광등 작업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선팽창>은 실상 형광등의 폭에 맞춰 디자인된 프로젝션 매핑이다. 관객은 형광등에서 불가능한 현란한 패턴을 보고서야 이 영상이 형광등 자체의 빛이 아니라 그것을 흉내 내고 있을 뿐이라는 점을 뒤늦게 알게 된다. 영상과 물리적 운동을 결합한 <사건의 지평선>(2020) 역시 보이는 것이 실체와 다르다는 인지의 간극을 이야기한다. 회전하는 모니터를 보는 관객은 처음에 그저 모니터가 돌아가나보다 정도의 생각을 하다가 영상이 회전하는 속도와 모니터의 회전 속도가 엇박이 나면서 이 장치의 구동 원리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실제로 모니터는 0.75 RPM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영상은 0.75~4.5 RPM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모니터의 속도와 영상의 속도가 잠깐 일치하는 순간 속도는 상쇄되어 영상은 정지된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사건의 지평선>이 물리적 회전을 영상에 접목했다면, 4개로 구성된 영상 연작 공백 시리즈는 영상 내부의 언어로 경계 흐리기에 도전한다. 시작과 끝이 모호한 채 끝없이 루핑되는 영상들은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흐르는 움직임들을 담고 있다. 위아래 방향으로 이어지는 자동차의 운동, 좌에서 우로 혹은 위에서 아래로 움직이는 파도의 운동, 화면 왼쪽 하단에서 오른쪽 하단으로 흘러가는 구름의 운동은 일면 원테이크로 찍은 스트레이트 필름처럼 보인다. 하지만 실상 이 영상의 시공간은 연속적이지 않다. 연속적인 것처럼 보이는 운동은 50-60개가 넘는 개별 영상의 단편들을 이어 붙인 영상 ‘조각’이다. 연속으로 보이는 외양 아래 비연속적 단절들을 내포한 영상은 영상에 대한 통념을 조용히 전복시킨다. 한편 이 작업은 사진과 영상의 경계도 슬며시 지운다. 앵글이나 피사체의 변화 없이 느리게 움직이는 영상은 앤디 워홀의 <Empire>(1964)처럼 본성상 ‘움직이는 그림(live painting)’이다. 더욱이 <빛의 공백>의 경우 겹친 영상의 잔상이 남아 있어 서로 다른 시공간의 접합이 훨씬 강조된다. 동영상임에도 불구하고 거의 움직이지 않는 배경과 빠르게 움직이는 도로의 대비 또한 같은 이미지 안에 사진과 영상이 공존하는 있는 것 같은 착시마저 일으킨다.

 

궤도를 한 바퀴 돌았으니 전시의 처음이자 마지막인 <불시착>(2020)으로 되돌아가자. 낙하산 위에 영상을 프로젝션한 이 작업은 물리적 추락과 부유하는 의식의 흐름을 결합한다. 고공에서 바라본 지상의 풍경, 물방울이 떨어지는 모습, 낙하산의 끈이 흔들리며 달라지는 시야 등이 단속적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이 작업 역시 현상과 실체 사이에 간극이 있다. 추락의 방향과 반대로 갈수록 지상에서 멀어지게 역재생시킨 푸티지나, 실제 소리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움직임이 야기한 전자기파를 소리로 전환한 음향은 모두 매끈한 환영을 깨는 각성의 빨간 약이다. 신호인지 잡음인지가 한 끗 차이인 아날로그 티비처럼 의도된 착륙인지 불시착인지도 그렇게 큰 차이가 없을지도 모른다. 우아하게 착륙했다 한들 길게 보면 불시착일 수도 있고 잘못 도착했어도 그것이 몰랐던 길을 열어주기도 하니 말이다. “현재 우리는 어떤 궤도에 머물러 있는가?”에서 출발한 조해나의 여정은 보는 자에게 “나는 어디에 있고 어디로 가고 있는가?”의 존재론적 질문을 촉발한다. 확실한 것은 없다. 그저 당신이나 나나 작품이나 끊임없이 공명하며 위태롭게 각자의 궤도를 그릴 뿐이다.


Elliptical Orbite : 1st Solo exhibtion

Exhibition Review
We Are All Stardust.

Kim Hyun

On a rotating fan, the lighting is attached instead of a propeller. The fan projects light onto transparent acrylic panels cut in the shape of four letters that are taken from the title of the exhibition. The movement of the fan eventually creates a shadow that changes shape repeatedly. This simple and fixed movement continues infinitely in an elliptical orbit. “Elliptical Orbit,” the title of the exhibition-which indicates elliptical trajectory caused by movement of objects-refers to the two types of movements, and relates those two in a certain way as well; One is cosmological movements such as movement of a satellite, or rotation and revolution of the Earth, and another type of usual movements found in daily life.

Transparent Smog is a transparent ad-balloon with a diameter of 190 centimeters, which is instilled with smog at a regular interval. Its axis is tilted at 23.5 degrees, just like Earth. The video projected on the surface of the ad balloon does not move on the premise of consistency; it is influenced by both the irregular movement of the smog and its fluctuating transparency according to its density. In The Subtle Movement, the circular shape of light projected onto the floor changes from the shape of a leftward crescent to a rightward crescent on a three-minute cycle. Also, Immovable Axis, in which a long cloth strip attached to a motor twists and turn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tor, operates so slowly that its movement is hardly recognizable. In this quiet and dilatory movements resonate movement and order that we rarely recognize in everyday life. Otherwise put, we can say that “the Earth rotates,” like a scientist once said, even though we do not feel it moving. It was evident that Cho’s works fall under the category of the kinetic art since it is based on the study of movements. Still, you can sense some strong energy that touches something inside you without any splendid technique that attempts to stimulate multiple senses. Elliptical Orbit is a projection of three channel video on translucent acrylic panels on the floor that shows the different movements happening in different time and spaces. In this work, Cho’s unique sense of space and controlled expression are manifested. The image from the video is distorted by the flexible use of acrylic panels that serve as monitors. One acrylic panel is obliquely installed and another panel is folded. The prosaic sound from daily life-such as fluttering wind, rattling objects, and white noise-is looming over the exhibition space, without any added effect. Next to it is Io, a toy bicycle rotating on an antique nickel silver plate. Watching it is definitely a pleasant experience; the bicycle is concentrating only on continuing its rotation regardless of its alleged analogy to Jupiter, the biggest planet. Charon-which is titled after a satellite of Pluto, the most distant planet from Earth-is an installation of a gymnast toy that cannot stop working because of its perpetual pendulum movement.
A fan is installed right above it as if it cheers for the gymnast.

Haena Cho does not need to borrow the grand narrative of Eastern Philosophy that makes an analogy of human as micro cosmos. Instead, Cho founds the order of nature or of the universe in movements and objects of everyday life. The way Cho rebuilds the order of the world through her work is very audacious yet sophisticated for an artist who presents her first solo exhibition.The daily life of micro cosmos seen through the “things stacked in an oblique gap” is unexpectedly beautiful that even the wait for a deviation from the fixed orbit feels exciting.

 

타원궤도 : 첫번 째 개인전

우리는 모두 별이 남긴 먼지입니다.

김 현

   투명 아크릴로 만들어진 전시 제목 네 글자가 팬대신 조명을 달고 있는, 회전하는 선풍기에 의해 길어졌다가 짧아지는 그림자를 반복적으로 만들어낸다. 이 단순하고 고정됨 움직임은 일정한 반경 안에서 무한히 타원궤도를 그리고 있다. 전시 제목 ‘타원궤도’는 물체가 운동하며 그리는 길쭉한 동그라미 모양이라는 뜻으로 행성의 인력으로 그 주 위를 선회하는 위성의 움직임이나 지구의 자전, 공전과 같이 우주적 차원의 운동을 지시하면서 동시에 주변의 사소하고 일상적인 움직임을 응시하고 그 둘을 관계 짓고 있는 듯 보인다.

 

지름 190cm 크기의 투명 애드벌룬에 일정한 시간마다 스모그가 채워지는<투명한 스모그>는 지구의 기울기와 같 은 23.5도로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다. 애드벌룬 위로 투사되는 영상은 스모그의 비정형적 운동과 그 양에 따른 투명성에 영향을 받으며 동일함이 전제되지 않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미동>의 경우 바닥을 향한 원형의 빛이 3분의 주기로 서서히 모양을 달리하며 초승달에서 그믐달로 변화하는 듯한 움직임을 보여준다. 그리고 천장에서 바닥으로 내려오는 긴 천이 모터의 동력에 의해 몸통을 비틀었다가 풀기를 반복하는 <고정된 축> 역시 그 움직임을 인식하기 힘들 만큼 천천히 작동한다. 이 조용하고 더딘 움직임들은 그래도 지구는 돈다는 어느 과학자의 말처럼 인지하지 못 했던 존재의 운동과 질서를 새삼 느끼게 한다. 그의 작업이 분명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키네틱 아트의 장르적 특성을 보이고 있다 하더라도 공감각을 자극하는 화려한 테크닉 없이 내면을 자극하고 움직이는 에너지를 감지할 수 있었다. 바닥에 설치한 반투명 아크릴에 3채널 비디오로 각자 다른 공간과 시간의 움직임을 포착한 <타원궤도>는 특유의 공간 감각과 절제된 표현 방식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모니터의 역할을 하고 있는 아크릴의 형태를 비스듬히 세우거나 접어놓는 방식으로 영상이 왜곡되고 바람이 스치는 소리 나 물건이 부딪히는 소리, 잔잔한 기계음 같은 사소한 일상의 소리들이 과장됨 없이 자연스럽게 전시장에 감돌았다. 그 옆으로 오래된 양은 쟁반 위를 돌고 있는 자전거 장난감에 목성의 위성인 ‘이오’라는 제목을 붙인 작품을 만나게 되는데 행성 중 가장 크다는 목성의 위용에 아랑곳없이 알록달록한 꽃무늬 위를 내달리고 있는 움직임이 재치 있다.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명왕성의 위성의 이름을 붙인 <카론>은 진자 운동 원리로 철봉 운동을 멈출 수 없는 체조 선수 장난감을 응원하듯 그의 머리 위에 작은 선풍기를 설치해 바람을 제공하고 있다.

 

조해나의 작업은 인간을 소우주로 비유한 동양 철학의 거창함을 내려놓고 우주와 자연의 질서를 일상의 움직임과 주변의 사물을 통해 발견하는데 이를 구현하는 방식이 첫 개인전이라고 믿기 힘들 만큼 과감하고 세련된 감각을 선보였다. ‘기울어진 틈새로 비스듬히 쌓아놓은 것들’ 사이로 만난 소우주의 일상은 느닷없이 아름다웠고 궤도를 벗어나는 일탈을 기다리는 것 또한 흥미진진했다.

미술세계 2016년 2월호
http://www.mise1984.com/magazine?issue=375&article=825